여행

광주 - 생활 속으로 들어가 보려한 여행, 가슴엔 '감동'

무거운 빈가방 2019. 1. 22. 08:02


 광주는 얼핏 스쳐지나가는 곳이엇다. 민주화성지, 그런 의미에서 5.18묘역이나 금남로광장 그런 뒤 소쇄원 족으로...


최근 방문이라해야 '이영희'선생님 돌아가신 뒤 무덤을 찾아 인사드리러 온 것이 마지막이니 얼마나 되엇는지도 기억이 나질 않는다.


그러다 이번 겨울 광주, 목포, 군산 .. 3중에 두군데는 방문하려 햇다. 그 첫번째가 광주다.


  게기가 된 것은 오마이뉴스 백범기념관에 대한 기사였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94645&CMPT_CD=SEARCH(역사교사인 나도 몰랐다, 광주백범기념관)


광주 검색을 하다보니 찾은 사이트가 크게 도움이 되었다.


광주 추천여행지

http://tour.gwangju.go.kr/home/tour/course/recommend/cat02.cs?searchCategory=&searchCondition=&searchKeyword=&pageIndex=1

 

잠은 호랑가시나무게스트하우스(처음엔 차이밍량, 이준익 등 감독이 잔 곳이라 하길래)를 잡았는데, 가서 보니 차이밍량의 페르소나 '이캉센'의 사인도 잇엇고 관리인 이애기로는 문재인대통령께서 후보시절 유세와 여기에 머물렀다 한다. 당연히 감독들과 문통의 채취와 행적을 느끼려 햇으나 ....감수성이 약한 탓인지 방은 그냥 방이었다. 도시 속의 전원 그리고 초기 개신교의 채취가 느껴지는 곳. 정도로


2박3일 여정으로 계획을 잡았고  계획에 구애 받진 않기로 했다.


그런데  고아주의 여행은 예상외의 감동들이 넘쳐났고

광주가 민주화의 성역으로 자리 잡은 이유를 가슴으로 느끼게 되었다.

그냥 형성 된 것이 아니라는 것.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 그리고 그에 부응하는 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계급들의 노력들이 함께 했다는

그래서 가능했을 것이라는

민주를 멀리하고 생활로 들어가려 했다가 생활 속에서 도로 민주를 느끼게 만든 여행이 되어버렸다.


간단 계획을 순서대로 보면 아래와 같으나 약한 글은 여러 이유로 생략 했다.

대체로 시간이 안되어 생략했으나 한국가사문학원은 건물이 마음에 안들어 생략 해버렸다. 


방문지를 많이 들리지 못한 주범은 '팽귄마을' 때문이다.

그냥 1시간 정도 스쳐 지나가려 한 곳에서 촌장을 만나고 관리인을 만나면서 생활 속의 이야기를 듣고

생활을 기록한 화가(한희원)의 전시회 까지 보게 되면서 1시간이 6시간 넘어로 연장 되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감동은 배가 되어 광주를 더 가슴에 담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가사문학원(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319) -

소쇄원(담양군 남면 소쇄원길 17 남면 지곡리 123) - 취가정 북구 충효동 397-3 - 환백당 북구 환벽당길 10 , 충효동 387

- 광주호수생태공원 북구 충효동 442-7 - 충효동도요지 북구 금곡동 179-5

- 풍암정 북구 금곡동 718 - 원효사(계곡식당 간다해야) 북구 금곡동 846

- 광주전통문화관 동구 운림동 323( 운림동 석실고분- 광주전통 문화관)

-의재미술관 - 중심사 - 약사암

- 광주백범기념관 (동구 학동 1013,(학동역사공원) 백화마을 (학동증심사입구역)

 

호랑가시게스트 (남구 양림동 230-1) -

양림동 - 사직동전망대 (남구 양림동 177)

수피아여자중고등학교 신사참배 거부, 광주학생운동에 앞장선 그녀들의 배움터

우일선 선교사 사택 - 선교사묘역 - 3.1기념비 - 수피아홀 - 원스브로우 홀(양림동 242)

-오웬기념각 (양림동 67-1) - 배유지기념 에배당(등록문화재 제159)양림동 242)

 

팽귄마을(양림동 24-93) - 이장우가옥(광주 남구 양촌길 21 양림동 128 : 구한말을 대표하는 상류층 저택 (왼편 쪽문 통해 안으로))

- 양림쌀롱 여행자라운지 (남구 양림동 166-8) - 양림동역사문화마을(양림동 202-38)

충장로(충장로122-2 (광주의 명동) -우다방 충장로216

 

-구전남도청(동구 광산동/문화전당역) - 아시아문화전당(광산동 13)

- 동명동카페골목(동명동 143-14) -(광주극장)충장로562-9

- 오가헌한옥카페(1860 동구 금남로 442번지)

광주양동시장 (서구 양동 5-101(5.18 시민위해 주먹밥)- 청춘빌리지방문센타(양동 439-63) - 청춘발산마을

 

광주비엔날레(북구 비엔날레로 111, 용봉동 산 149-2 - 시립미술관(북구 하서로 52,운암동 산 42-3) - 7경 풍영정(광산구 신창동 852)

- 상무지구먹자골목(서구 치평동 1196) - 무각사(서구 쌍촌동 1268-1) - 송정역 시장(광산구 송정동 990-18) - 만귀정(서구 세하동 274-1) - 호가정(영산8, 광산구 본덕동 1) - 부용정 (남구 칠석동 129)

 

대인예술시장 동구 재봉로 194번길 8, 대인동 309-6(낮 시장 - 매주 토요일 예술 야시장도 함) : 콩쥐팥쥐(꼬치 불막창 음료수)족욕카페 : 벌집삼겹살 불초밥, 트리머스(공연) , 수작(아트샵), 웰컴센터 대인스토리

남광주 밤기차야시장 : 동구 학동 55-137

 

5.18묘역 : 5.18 묘역 광주 북구 민주로 200 , 운정동 563 구묘역 북구 운정동 산 45

 

1. 근대사의 산증인 양림동

  1) 선교사의 동네

  2) 옛것과 새것이  함께 하는 공간

  3) 양림의 기록화 '한희원'의 창틀 유화

  4) 광주가 그냥 광주는 아니었다 - 양림마을을 통해 민주의 성지를 더 느끼다.


2. 기념관은 작을수록 좋다 - 광주백범기념관


3. 다른 모습 비슷한 지킴이 - 팽귄마을과 오가헌


4. 재래시장을 지키려는 노력 그렇지만 쓸쓸한! - 대인예술시장과 남광주 밤기차 야시장


5. 국립아시아 문화전당과 구전남도청